베를린을 다니다 보면, TV 타워나 전승기념탑처럼 뾰족 솟아 나온 몇 가지 관광 명소를 어디서든 쉽게 볼 수 있다. 산이 없는 지형인 데다가 고층 건물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중에서 관광안내책자에 소개되지 않은 이러한 구조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이 철탑이 멋진 전구들로 장식이 되어, 베를린 서남부 지역을 밝혀 준다.
과연 이 철 구조물의 정체는 무엇일까?

문제의(?!) 철 구조물 ⓒ 소나기랩
- 오이레스 캠퍼스 개요
이 철 구조물은 GASAG이라는 가스회사의 가스 저장 탱크로 이용이 되어 왔다. 오이레프 아게(EUREF AG)가 2008년에 이 부지를 인수하여, 5.5 헥타르의 지역을 에너지 전환의 실험 지구로 개발해 오이레프 캠퍼스(EUREF Campus)로 재탄생 시켰다.
오이레프 캠퍼스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주목받는 ‘친환경 스마트 도시’ 모델이다. 독일 베를린 서남부 쉐네베르크(Schöneberg) 지역에 위치한 캠퍼스에는 약 150개의 연구소와 회사들이 운영되고 있고, 3,500명의 근로자가 상주하고 있다.

혁신적인 비즈니스 및 과학 커뮤니티, 기후 중립 에너지 공급 장치, 지능형 에너지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적 건물, 미래의 이동성을 위한 테스트 플랫폼 및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에너지 전환을 실현 할 수 있고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을 그 존재 자체로 입증하고 있다.
소나기랩에서는 오이레프 캠퍼스를 직접 방문하여, 곳곳을 탐방해보았다.
2. 오이레프 캠퍼스의 에너지 발전소: CO2 감축을 향하여
오이레프 캠퍼스에서는 오이레프 에너지발전소(EUREF Energiewerkstatt)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하여 기후 보호, 지속 가능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발전소의 핵심 요소는 열병합 발전이다. 발전기는 바이오 메탄을 연소시켜서 전기를 생산하고, 이 전기는 베를린 전력망으로 직접 공급된다. 남은 열은 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오이레프 캠퍼스 내에서 이 잉여 열은 사무실 난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온이 몹시 낮아 추가 난방을 위한 에너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두 개의 저온 가스 보일러를 사용한다. 이 에너지 발전소는 Eco-Tool이라는 인공 지능이 제어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모든 건물에서 약 1,000개의 데이터가 분석되고, 어느 건물에서 어떤 에너지가 소비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러한 것을 Power-to-Heat / Power-to-Cold 기술이라고 하는데, 이 기술을 통해 오이레프 캠퍼스의 에너지 발전소가 재생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태양열 발전이나 풍력 터빈을 통해 날이 맑고,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 너무 많은 에너지가 생산되었다면, 이 에너지 발전소에 저장된다. 그리고 나중에 이 잉여 에너지는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온수/냉수 탱크에 저장이 된다. 이 저장 시스템은 연방 경제에너지부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연구 프로젝트 WindNODE의 일환이다.
자동차로 유명한 아우디는 오이레프 캠퍼스에서 1.9 MWh의 폐기 배터리로 전기를 생산한다. 테스트 차량에서 폐기된 20개의 배터리가 서로 연결되어, 대형 배터리가 되고 이는 건물을 운영하는 데에 적절하게 쓰이고 있다.


오이레프 캠퍼스의 폐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생산 ⓒ 소나기랩
이처럼 오이레프 캠퍼스는 바이오 가스 열병합 발전 플랜트를 통한 ‘탄소 감축’ 에너지 공급, 국소적으로 태양광, 풍력, 지열 발전을 통한 재생 에너지 활용 등 독일에서 가장 큰 전기 변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럽 내에 자리 잡은 산업 스마트 시티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구축된 오이레프 캠퍼스 내 태양광, 풍력, 바이오 가스 열병합 발전의 설비들은 규모가 작고 통합 관리 시스템이 부재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스마트 시티는 산업의 구조와 네트워크 측면에서 국내 스마트 시티 구축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소나기랩에서는 오이레프 캠퍼스와 연계한 전문가 가이드 투어를 통해 ‘오이레프 발전소’를 방문하여 미래의 에너지 공급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실시간으로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문의 sonagilab@gmail.com, (2부에 계속)